반응형
On-Prem
- On-Premise (인하우스)
- IT서비스를 운영하는 회사가 자체적으로 보유한 공간에 물리적으로 하드웨어 장비를 가지고 직접 운영하는 방식
-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나오기 전까지 일반적인 기업이 사용하던 인프라 구축 방식
- Pet의 개념으로 오류가 생기면 하나하나 따지고 달래가면서 운영한다
장점
- 기업의 비지니스 정보를 보안성 높게 관리할 수 있다
단점
- 시스템을 구축할 때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간다
Cloud
- 제 3의 기업으로부터 IT서버의 특정 기능들을 빌려 쓰는 것
- 관리적인 체계와 서비스 체계를 총칭해서 컴퓨터로 제공할 수 있는 체계들을 programmable하게 관리할 수 있는 것
- 모든 자원이 가상화되있다, 물리적인 것을 맵핑해서 프로그램 할 수 있는것이 가상화되있고 그것을 제공하는 것
- 가축의 개념으로 오류가 나면 삭제 후 재설치하는 운영 방식으로 *VM은 언제든지 사라질 수 있으므로 서버안에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 (모든 데이터는 내부 서버에 저장)
- = amazon, oracle
VM (Virltual Machine) 가상 머신
실재하는 컴퓨터 상에소프트웨어로 논리적으로 만들어낸 컴퓨터
장점
- 비용은 사용한만큼만 지불한다
- 데이터 백업 & 복구는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 연결만 되어있으면 가능하다
- IT 서버/인프라를 보관할 장소나 유지/관리할 인력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
단점
- 저장공간의 한계 및 비용
- 데이터가 많이 발생하는 기업이면 모든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하는데에 한계가 있다
- 클라우드 기술 제공업체 또는 고객사 둘 중 하나라도 인터넷 연결이 끊어진 경우, 데이터 접근이 불가하다
- 데이터 백업에 대한 모든 컨트롤을 하기 어렵다
- 인터넷 연결 속도가 느린 상황이면 해당 기업 전체의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
Ref
https://m.blog.naver.com/sdoor_192/221565040278
https://joyfuls.tistory.com/48
반응형
'Backend > 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ata base Optimizer, ORM, Kafka, 동기/비동기처리 (0) | 2023.07.01 |
---|---|
[Kafka] Apache Kafka 개념 (1) | 2023.06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