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소켓
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는 두개의 프로그램간 양방향 통신의 하나의 엔드 포인트
프로그램이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역할
떨어져있는 두 호스트를 연결해주는 도구로서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한다
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구조체로 소켓을 통해 데이터 통로가 만들어진다
엔드 포인트
아이피 주소와 포트 번호의 조합을 의미한다
예시로 최종목적지는 사용자의 디바이스 (PC, 스마트폰 등) 또는 서버가 될 수 있다
소켓 통신
-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특정 포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신 방식
-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상황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
- 소켓이 된다는 이야기는 지속적으로 연결되있는 것이다
-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이나 온라인 게임과 같은 경우에 자주 사용된다
HTTP 통신
-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낼때만 서버가 응답하는 단방향 통신 방식
-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때만 서버가 응답하여 해당 정보를 전송하고 곧바로 연결을 종료하는 방식
-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은 후에는 연결이 바로 종료된다
- 동시 사용자를 많이 받을 수 있다
- 연결이 계속적으로 끊어진다는 단점이 있다
- 실시간 연결이 아닌 필요한 경우에만 서버로 요청을 보내는 상황에 유용하다
- 요청을 보내서 서버의 응답을 기다리는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 주로 사용된다
반응형
'Backend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접근제어자 (access modifier) (0) | 2023.06.13 |
---|---|
[Java] 상속 Inheritance, 포함 관계 (composite) (0) | 2023.06.13 |
형변환 데이터타입 크기 순서 (0) | 2023.05.31 |
클라이언트 서버 라우팅 REST API GET POST PUT PATCH SEO (0) | 2023.05.30 |
SPA MPA PWA LUA WAS RDS (0) | 2023.05.29 |